지방공무원 2022년 육아휴직 대상자 중 육아휴직 사용자 비율 29.3%
육아휴직 대상자 중 남성 공무원은 15.5%, 여성 공무원은 40% 사용.. 성별격차 2.5배
육아휴직 사용률 가장 지자체는 경기도 37.4%, 가장 낮은 지자체는 경상북도 21.6%
남성 육아휴직 사용 가장 낮은 지자체도 경상북도, 가장 높은 지자체는 충청북도
용혜인 “행안부는 육아휴직 사용률 및 남성 육아휴직 사용 낮은 지자체에 육아휴직 사용 활성화 권고해야...”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이 16개 시·도 지방공무원 육아휴직 사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2년 육아휴직 대상자 중 남성 공무원은 15.5%, 여성 공무원은 40%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공무원 사용률이 남성 공무원의 사용률에 비해 약 2.5배 높은 수치이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실이 16개 시·도에서(대구광역시 제외)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만 8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 중 육아휴직을 사용한 공무원은 14,181명으로 17.3%의 공무원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육아휴직 대상자 대비 사용자 비율을 성별에 따라 분석해보면 2022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남성 공무원 28,937명 중 4,492명의 남성이 사용했고, 여성 공무원 37,039명 중 14,834명 여성이 사용해 각각 15.5%, 40.0%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개 지방자치단체(자치구 포함) 육아휴직 사용률을 비교했을 때,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높은 지자체는 경기도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2022년 육아휴직 대상자 12135명 중 육아휴직 사용자는 19326명으로 37.4%의 공무원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그에 반해 가장 비율이 낮은 지자체는 6068명의 대상자 중 1312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상북도였고, 광주광역시, 강원도,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가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대구광역시는 육아휴직 사용현황이 지방 자치 사무 관련 자료라며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
한편, 남성 육아휴직 비율이 가장 낮은 지자체 역시 남성육아휴직 사용률이 11.2%인 경상북도로 밝혀졌다. 광주광역시의, 강원도, 대전광역시가 그 뒤를 이었다. 이 기관들은 여성과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3배 이상 차이가 났다.
구분 |
육아휴직 대상자 (명) |
육아휴직 사용자 (명) |
사용률 (%) |
|||||||
순번 |
기관 |
전체 |
남성 |
여성 |
전체 |
남성 |
여성 |
전체 |
남성 |
여성 |
1 |
경기도 |
12135 |
7219 |
4916 |
4538 |
3590 |
948 |
37.4 |
49.7 |
19.3 |
2 |
울산광역시 |
1288 |
782 |
506 |
474 |
381 |
93 |
36.8 |
48.7 |
18.4 |
3 |
세종특별자치시 |
616 |
307 |
309 |
218 |
163 |
55 |
35.4 |
53.1 |
17.8 |
4 |
부산광역시 |
4211 |
2669 |
1542 |
1372 |
1098 |
274 |
32.6 |
41.1 |
17.8 |
5 |
경상남도 |
4036 |
2319 |
1717 |
1276 |
971 |
305 |
31.6 |
41.9 |
17.8 |
6 |
충청북도 |
3315 |
1704 |
1611 |
1027 |
710 |
317 |
31.0 |
41.7 |
19.7 |
7 |
전라북도 |
3523 |
1795 |
1728 |
1020 |
759 |
261 |
29.0 |
42.3 |
15.1 |
8 |
제주특별자치도 |
1424 |
676 |
748 |
400 |
272 |
128 |
28.1 |
40.2 |
17.1 |
9 |
전라남도 |
4736 |
2504 |
2232 |
1323 |
1009 |
314 |
27.9 |
40.3 |
14.1 |
10 |
대전광역시 |
1358 |
743 |
614 |
366 |
288 |
78 |
27.0 |
38.8 |
12.7 |
11 |
충청남도 |
4557 |
2375 |
2182 |
1225 |
930 |
295 |
26.9 |
39.2 |
13.5 |
12 |
서울특별시 |
10393 |
6423 |
3970 |
2681 |
2095 |
586 |
25.8 |
32.6 |
14.8 |
13 |
인천광역시 |
3213 |
1886 |
1327 |
817 |
631 |
186 |
25.4 |
33.5 |
14.0 |
14 |
강원도 |
3209 |
1540 |
1669 |
810 |
598 |
212 |
25.2 |
38.8 |
12.7 |
15 |
광주광역시 |
1865 |
1032 |
863 |
467 |
364 |
103 |
25.0 |
35.3 |
11.9 |
16 |
경상북도 |
6068 |
3065 |
3003 |
1312 |
975 |
337 |
21.6 |
31.8 |
11.2 |
※출처: 용혜인 의원실 (16개 시·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