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명숙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민을 위한 정책이 만들어지도록 노력"
[인터뷰] 김명숙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민을 위한 정책이 만들어지도록 노력"
  • 우영제 기자
  • 승인 2023.07.04 15: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고유의 특징을 살리는 지역별 대책 필요”
김명숙 위원장
김명숙 기획경제위원장

충남도의회 11대 의원에 이어 12대 의원으로 의정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김명숙 기획경제위원장을 29일 본지가 만났다.

김명숙 위원장은 "지방자치가 부활한 지 3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예산 편성권과 집행권은 도지사가 오롯이 갖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주민과 행정 사이에서 정책이 주민들을 위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지도록 하는 가교역할을 하겠다"라는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그러면서 "행정정책들을 지방자치 시대와 자치분권 시대에 걸맞게 주민 중심으로 더 가까이 옮겨 가도록 하겠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는 현장으로 찾아가 이해 당사자인 주민들의 의견을 모으다 보면 정책의 실마리가 풀린다. 다양한 주민들을 만나 의견을 구하다 보면 최선은 아니라도 차선책이 발굴되기도 한다"라며 "현장 중심 행정정책 만들어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김 위원장과의 11답이다.

71일이면 제12대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한 지 1년이 된다. 소감은?

기획경제위원회는 충남도의 정책을 총괄하는 기획조정실과 경제, 미래산업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산업경제실과 투자통상정책관 등 충남도 핵심 실국의 주요 정책을 살피는 상임위다.

또한, 충남연구원을 비롯해 충남개발공사, 충남도립대, 신용보증재단, 일자리경제진흥원, 테크노파크, 평생교육인재육성진훙원 등 비중 있는 공공기관 등도 함께 맡고 있다.

이러한 핵심부서와 기관들이 220만 도민을 위해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충남도와 충남 발전을 위한 동반자의 책무를 충실히 수행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위원장으로 선출됐을 때 도민의 삶이 지금보다 더 나아지고 도정이 도민들 곁으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정책이 실현되는데 위원장의 권한을 사용하겠다고 말했었다.

도의 정책을 총괄하는 기획조정실과 경제 관련 분야의 중요성이 높은 부서의 업무를 심의하는 상임위원회로 위원회의 역할이 막중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위원장으로서 위원들과 이러한 문제들을 풀어 가는 데 도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도민들에게 이로운 정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위원장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특하. AI시대에 맞는 반도체, 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정책 지원을 통한 충남의 다양한 미래먹거리 발굴, 다양한 충남형 경제정책을 통한 성장동력 발굴, 지속가능한 공동체 유지를 위한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앞으로도 기획경제위원회는 도민을 위한 현장 중심의 정책을 발굴하고 제안하는 위원회 운영과 220만 도민의 삶에 이로운 정책을 만들고, 정비하고, 실행될 수 있도록 남은 기간도 열심히 하겠다.

청양군의회 재선의원과 도의회 11대 의원에 이어 12대 의원으로 의정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도의원의 길을 선택한 이유는?

태어나고 자란 고향, 청양에서 우리나라 지방의회 부활을 앞둔 1990년부터 15년간 지역신문 기자로 활동하면서 지방자치 시대를 만나게 됐다.

행정과 주민의 정보와 소식을 이어주는 지역신문 기자 역할도 지방자치 시대에 필요한 일이라 생각했는데 당시엔 지역의 문제를 아무리 기사화해도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그래서 2006년 청양군 최초의 여성 군의원 후보, 당시 최연소로 출마해 4명을 선출하는 지역구에서 최다득표, 최초 선출직 여성 군의원이라는 군민들의 선택을 받게 됐다.

8년간 재선 군의원의 임기를 마치고 충남도의 공공기관장 업무를 수행한 후 2018년 광역의원에 출마해 당선됐다.

주민의 대변자인 지방의원으로서 행정정책을 주민 편으로 더 가까이 옮기는 것을 목표로 1991년 지방의회가 부활 후 30년 지방자치 시대에서 필요한 역할을 나름대로 하면서 열심히 살아오고 있다.

의정 철학이 어떻게 되는가?

주민의 대표인 도의원의 역할 중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지방자치 시대와 자치분권 시대에 맞게 행정정책들을 주민 중심으로 더 가까이 옮겨 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집행부에 도민을 위한 정책을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제안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도의원은 주민과 행정 사이에서 정책이 주민들을 위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지도록 하는 가교역할을 해야 한다는 게 소신이다.

충남의 저발전지역인 남부권의 균형발전, 인구감소지역의 양극화 해소정책, 지속가능한 공동체 등 깊은 관심을 보여왔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도정질문이나 5분 발언을 통해 가장 강조하는 것은 충남의 균형발전 정책과 인구감소, 고령화와 지역소멸 문제에 대한 제안과 충남도의 대비책 같은 관련 정책이다.

충남의 15개 시군 중 지방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시군이 9곳에 이르며 지역별, 산업별 간 극도 넓어 이런 불균형의 간격을 좁혀가는 정책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시급하다.

충남 인구를 보면 경제활동 주력인 생산인구는 201369.7%에서 202267.7%2%만 감소하지만, 2050년이 되면 48.5%로 줄어들 전망이다. 절반 이하가 활동해서 절반 이상을 부양해야 하는 구조가 돈다.

또한 2040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819800명으로 전체 충남인구의 36.6%를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가 될 전망이다청양의 사정과 부여, 금산의 사정이 다르고 동부 내륙과 서해안의 사정이 다르며, 북부권과 남부권의 또한 다른 것이 현재 충남의 상황이다.

도정 차원에서 균형발전사업과 지방소멸대응기금, 농촌협약사업이 실시되고 있는 도내 9개 지역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과 계획을 통한 지역 고유의 특징을 살리는 정밀한 대책이 요구된다.

4차 충남도 종합개발계획과 도지사 공약을 지역과 산업별로 분석해 불균형, 양극화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특히 지방소멸지역인 남부내륙권지역에 대해서는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을 발굴 적용해야 충남의 지속가능한 공동체가 유지될 것이다

충남도의 정책플랫폼 역할이 필요하고 우리 위원회가 함께 노력하고 힘을 보태겠다.

대표 발의한 조례 중 기억에 남는 조례와 이유는?

전국 최초로 충남도 농촌협업 촉진과 주민자치 강화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해서 제정됐는데 도의회가 이 조례를 아름다운 조례 30선으로 선정했다상을 받아서 기억에 남는 것이 아니라 도민을 위한 정책사업에 부서별 협업과 주민참여의 기회를 마련한 조례이기 때문이다.

농업정책을 추진해온 도청 부서 간 협업을 촉진하고, ·면 단위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정책 수립 과정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농산어촌개발사업 완료 후 운영에도 주민자치회나 사회적경제 조직이 운영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둬 제정됐기 때문이다.

앞으로 정치인으로서 꿈이 있다면?

솔직히 말해 앞으로의 정치인의 꿈에 대해서는 깊이 고민해볼 경황이 없었다. 도민들께서 임무를 맡겨주신 지방의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정말 바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굳이 밝히라면 정치인의 꿈은 유권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 “정치인의 꿈이라면 주어진 임기를 잘 마치는 것이라 말하고 싶다.

의정활동을 하면서 의미 있게 되새기는 구절이 있다. 첫 번째는 처음 출발한 곳을 잊으면 돌아갈 곳이 없다라는 말로 초심을 다지고, 두 번째는 백성은 가난함에 분노하는 것이 아니라 불공평에 분노한다는 옛 구절로 행정은 정책을 실행함에 있어 주민에게 기회는 균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워야 한다는 생각이다. 마지막으로 다음 선거를 생각하면 정치꾼이고 다음 세대를 생각하면 정치인이라는 말을 새기면서 일해 왔다.

임기를 마쳤을 때 주민들께서 그래 김명숙 의원이 우리 말도 잘 들어주고 행정에서 하는 일을 우리에게 잘 전달되도록 열심히 했지, 김명숙 의원 때문에 행정과 제도가 주민의 편으로 많이 바뀌었어라는 평가받는 것이 지방자치에 대한 정치의 완성이라고 생각한다.

퍼스트뉴스를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퍼스트뉴스에 큰 힘이 됩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본사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16길 18 실버빌타운 503호
  • 전화번호 : 010-6866-9289
  • 등록번호 : 서울 아04093
  • 등록 게제일 : 2013.8.9
  • 광주본부주소 : 광주 광역시 북구 서하로213.3F(오치동947-17)
  • 대표전화 : 062-371-1400
  • 팩스 : 062-371-7100
  • 등록번호 : 광주 다 00257, 광주 아 00146
  • 법인명 : 주식회사 퍼스트미드어그룹
  • 제호 : 퍼스트뉴스 통신
  • 명예회장 : 이종걸
  • 회장 : 한진섭
  • 발행,편집인 : 박채수
  • 청소년보호책임자 : 대표 박채수
  • 김경은 변호사
  • 퍼스트뉴스 통신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퍼스트뉴스 통신. All rights reserved. mail to firstnews@first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