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70%, "시간선택제 일자리 찬성"
기업 70%, "시간선택제 일자리 찬성"
  • WBC복지뉴스
  • 승인 2014.01.11 1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 10곳 중 7곳은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 266명을 대상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선호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번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72.6%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이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찬성하는 이유로는 △취업 소외계층(주부. 실버 계층)에게 일자리 기회가 제공되기 때문이란 의견이 32.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근로자가 원하는 시간에 근무가 가능하다 26.4% △청년 실업난 해소가 기대된다 16.1% △고용이 보장되는 양질의 파트타임 일자리 창출 기대 14.0% △일과 가정의 양립 가능 8.8% 등의 의견이 있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반대하는 이유로는 △일자리의 질이 더 나빠질 것으로 우려된다는 응답이 37.0%로 가장 많았으며, 이 외에도 △일자리의 양극화 현상 심화와 △정부정책에 따른 급조된 채용 우려가 각각 16.0%, △기업의 인력 교육비용, 시간 낭비 11.0% △최저 임금 확산의 우려 10.0% △기업의 체계적인 인력 운영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5.0%)는 우려 등이 있었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기업 중 37.6%는 올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채용 계획이 있는 분야로는(*복수응답) △일반 경력직 분야가 응답률 58.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신입직도 53.0%로 채용 비중이 높았다. 이 외에 △경력단절 여성 40.0% △퇴직 후 실버계층 13.0% 등의 순이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직무 분야로는 △서비스직 분야가 43.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고객상담직 33.0% △일반관리직 31.0% △생산직 27.0% △기획직 24.0% △판매.매장관리직과 △마케팅직이 각각 22.0% 순이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을 진행하는 이유로는 △고용의 탄력성을 유지하면서 전문 인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란 응답이 40.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시책에 부응하기 위해 29.0% △갑작스럽게 폭주하는 단순 반복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서와 △기업의 인력 비용 절감이 각각 14.0% 등의 순이었다. 이들 시간선택제 채용 인력에 대한 향후 정규직 전환 여부에 대해서는 89.0%가 있다고 답했다.

기업들이 생각하고 있는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해서는(*복수선택) △좋은(양직의) 일자리라고 생각한다는 의견이 61.7%로 가장 높았으며, 이 외에 △기혼 여성을 위한 일자리 54.9% △일자리 정책을 위한 형식적인 일자리 36.5% △4대 보험 등 복지 혜택을 받는 계약직 일자리 30.1% △청년층을 위한 새로운 일자리 23.7% △질이 낮은 일자리 23.3% 등의 의견이 있었다.

 

퍼스트뉴스를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퍼스트뉴스에 큰 힘이 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본사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16길 18 실버빌타운 503호
  • 전화번호 : 010-6866-9289
  • 등록번호 : 서울 아04093
  • 등록 게제일 : 2013.8.9
  • 광주본부주소 : 광주 광역시 북구 서하로213.3F(오치동947-17)
  • 대표전화 : 062-371-1400
  • 팩스 : 062-371-7100
  • 등록번호 : 광주 다 00257, 광주 아 00146
  • 법인명 : 주식회사 퍼스트미드어그룹
  • 제호 : 퍼스트뉴스 통신
  • 명예회장 : 이종걸
  • 회장 : 한진섭
  • 발행,편집인 : 박채수
  • 청소년보호책임자 : 대표 박채수
  • 김경은 변호사
  • 퍼스트뉴스 통신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퍼스트뉴스 통신. All rights reserved. mail to firstnews@firstnews.co.kr
ND소프트